HOME LOGIN JOIN CONTACT US ENGLISH
 
학회소개 >연혁
부위마취에 관심을 갖고 부위마취연구회 창립의 필요성을 동감한 서울 경기 지역 마취과 전문의 11명이 2014년 4월 24일 교대역 인근 하나일식에 모여 부위마취연구회 창립을 위한 예비모임을 갖았다. 이 모임에서 부위마취연구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고 삼성서울병원 최덕환 교수님을 회장으로 추대하고 임원진은 추후 회장이 임명하기로 하였다. 모임의 공식 명칭은 <한국부위마취연구회(Korean Society of Regional Anesthesia, KSRA)>로 정하였다.
표 1. 한국부위마취연구회 발기인 명단

삼성서울병원 최덕환
아주대학교병원 김진수
신촌세브란스병원 이기영
서울아산병원 노영진
고대안암병원 신현주
이대목동병원 김윤진
삼성서울병원 고상욱
여의도성모병원 문호식
신촌세브란스병원 이재훈
아주대학교병원 조한범
서울아산병원 최성수

2014년 6월 12일에는 삼성서울병원 가화원에서 2차 예비모임이 있었고, 총 15명이 참석하였다. (참석자: 최덕환, 고상욱, 이기영, 이재훈, 김진수, 조한범, 최성수, 신현주, 김윤진, 문호식, 임영진, 홍상현, 오아영, 이준호, 김형태) 모임에서 임원진을 구성하였고(표 2), 2014년 9월 25일 창립총회를 계획하였다. 또한 학술활동으로 부위마취 보험수가 (서울아산병원 최성수 교수)와 미국 현지병원의 부위마취 practice (이대목동병원 김윤진 교수) 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표 2. 대한부위마취학회 초대 임원진 명단
임원 소속 성함
회장 삼성서울병원 최덕환
부회장 아주대학교병원 김진수
기획이사 서울아산병원 노영진
학술이사 이대목동병원 김윤진
대외협력이사 전주예수병원 김형태
교육이사 서울대병원 임영진
재무이사 고려대안암병원 신현주
총무이사 아주대학교병원 조한범
2014년 7월 15일에 1차 이사회가 있었으며, 초기 임원진 상견례 후 회칙을 확정하고 앞으로의 모임에서 강의 및 토론을 할 주제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2014년 9월 12일에 2차 이사회가 있었으며, 감사에 연세대 이기영 교수님, 고문에 차의과학대학교에 신양식 교수님을 추대하였고, 9월25일 연구회 모임 준비사항을 점검하였다. 1차 이사회에서 결정하였던 회칙을 연구회 수준에 맞게 좀더 간략화 하기로 하였다.

2014년 9월 25일 제 1회 한국부위마취연구회가 CJ인재원에서 개최되었다. 총 46명의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참여하였다. 회장님의 인사말과 개회사 후 임원진 소개와 회칙소개가 있었으며, 강의는 차의과학대학교의 신양식 교수님이 ‘우리나라 부위마취의 과거, 현재, 미래’ 와 이화의대 김윤진 교수님이 좌장으로 진행된 TKA에서 Optimal clinical pathway 및 analgesic technique에 대한 내용으로 울산의대 고원욱 교수님의 CSE for TKA, 고려의대 신현주 교수님의 FNB for TKA 의 강의와 토의가 있었다.

2014년 12월 19일 금요일 제 2회 한국부위마취연구회가 CJ인재원에서 개최되었다. 총 47명의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참여하였다. 주제는 어깨수술을 받는 환자를 위한 부위마취로 이화의대 김윤진 교수님이 좌장을 맡았고, 강의는 Regional anesthesia for shoulder surgery : Single block vs Combination of general anesthesia 에 대해 순천향의대 이준호 교수님, Anesthsiological considerations in continuous brachial plexus block for shoulder surgery 에 대해 중앙의대 신화용 교수님, US guided-brachial plexus block for shoulder surgery : Is nerve stimulator no longer needed? 에 대해 예수병원 김형태 선생님이 강의하였다.

2015년 3월 21일 토요일 12시부터 18시 15분까지 제 3회 한국부위마취연구회 및 제 1회 초음파 workshop이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지하1층 강당 및 제 1,2 세미나실에서 개최되었다. 사전등록은 전문의 88명, 전공의 52명이었고, 현장등록은 전문의 6명, 전공의 3명으로 총 149명이 등록하였다. (전문의 94명, 전공의 55명) 사전등록하고 현장에 오지 않은 전문의 6명, 전공의 2명을 제하면 총 141명이 실제 참석하였다. 제 3회 한국부위마취연구회의 주제는 neuroaxial block으로 동아의대 정찬종 교수님이 좌장을 맡았고, 강의는 regional anesthesia in the patient receiving antithrombotic or thrombolytic therapy에 대해 서울의대 임영진 교수님, thoracic epidural block에 대해 성균관의대 안현주 교수님이 강의하였다. 제 1회 초음파 workshop은 이화의대 김윤진 교수님이 좌장을 맡았고, interscalene, supraclavicular, cervical plexus blocks에 대해 순천향의대 이준호 교수님, infraclavicular, axillary, below mid-humeral blocks에 대해 카톨릭의대 문호식 교수님, pecs I & II blocks, serratus-intercostal / pecto-intercostal fascial plane blocks & diagnosis of pneumothorax and paralysis of diaphragm에 대해 아주의대 조한범 교수님, transversus abdominis plane, transversalis fascia plane, quadrates lumborum, rectus sheath blocks에 대해 예수병원 김형태 선생님이 강의하고 hands-on session을 진행하였다. 이 외에도 초보자를 위한 hand-eye coordination 실습이 있었고, 고려의대 신현주 교수님과 충북의대 신영덕 교수님이 각각 femoral nerve, obturator nerve, saphenous nerve blocks 과 Sciatic nerve block (parasacral, subgluteal, popliteal approach)에 대해 mini-lecture와 live demonstration을 진행하였다.

2015년 4월 22일 수요일부터 26일 일요일까지 한국부위마취연구회 임원진 6명은 일본 니이가타대학병원 수술실을 참관하고(4/23) 제 2회 JSRA (일본부위마취학회, 군마현 다카사키시, 4/24~25)에 참석하였다. 2nd JSRA에서 김형태 선생님이 우수포스터상을 시상하였고, 조한범 선생님이 oral presentation을 하였다. 또한 학회 만찬회에 참석하여 일본 부위마취학회 회원들과 교류를 하였고, 추후 한국부위마취연구회 연자 초청 등 의견을 나누었다.

2015년 8월 21일 금요일 18시부터 20시30분까지 서울 중구 필동 소재 CJ인재원에서 제4회 한국부위마취연구회를 개최하였다. ‘Pediatric Regional Anesthesia’ 를 주제로 연세의대 길혜금 교수님이 좌장을 맡아주셨고, 길혜금 교수님이 Introduction을, 연세의대 최용선 교수님이 Epidural Analgesia in pediatric patients, 연세의대 이재훈 교수님이 Caudal block in pediatric patients, 아주의대 김진수 교수님이 Peripheral nerve blocks in pediatric patients 를 제목으로 강의하였다. 총 48명의 전문의가 참석하였다.

2015년 9월 2일부터 5일까지 슬로베니아 루블라냐에서 열린 34회 ESRA에 임원진 5명이 참가하였고, 2명이 oral presentation을 하였다.

2015년 10월 17일 토요일 11시부터 18시까지 제 5회 한국부위마취연구회 및 제 2회 초음파 workshop이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지하1층 강당 및 제 1,2 세미나실에서 개최되었다. 사전등록은 전문의 60명, 전공의 23명이었고, 현장등록은 전문의 5명, 전공의 5명으로 총 93명이 등록하였다. 총 93명이 (전문의 65명, 전공의 28명) 실제 참석하였다. 정식 연구회 모임 시작 전 11시부터 13시까지 phantom session이 있었다. 우선 이화의대 김윤진 선생님의 Basic lecture 강의 후 성균관의대 고상욱, 아주의대 조한범 선생님의 진행 하에 vessel puncture, single nerve block, TAP block, Maxillary/ Mandibular nerve block 에 대한 Meat phantom session 시간을 가졌다. 제 5회 한국부위마취연구회의 주제는 “Periperal Nerve Blocks for Abdominal Surgery and Lower Extremity Surgery” 로 성균관의대 최덕환 교수님이 좌장을 맡았고, 강의는 Continuous thoracic paravertebral and TAP blocks for abdominal surgery 에 대해 Niigata University Medical and Dental Hospital의 Takayuki Yoshida 선생님, Femoral nerve and adductor canal blocks for knee joint surgery 에 대해 Osaka Prefectural Medical Center에 Norihiro Sakai 선생님, Popliteal sciatic nerve and ankle blocks for foot & ankle surgery에 대해 성균관의대 고상욱 선생님, Posterior proximal sciatic nerve blocks에 대해 충북의대 신영덕 선생님이 강의하였고, 같은 내용으로 제 2회 초음파 workshop에서 아주의대 김진수 교수님의 진행으로 hands-on session을 진행하였다. (총 23명, 4조) 또한, 단국의대 전대근 선생님과 가톨릭의대 문호식 선생님이 각각 Blocks around the clavicle, Distal blocks of upper extremity 에 대해 mini-lecture와 live demonstration을 진행하였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50세 이상의 시니어를 대상으로 초음파에 대한 접근에 거부감을 줄이고자 Senior Workshop을 준비하였으며 2명의 회원이 참석하였다.

2016년 1월 9일, 10일 1박2일로 한국부위마취연구회 연수회가 강화도 동검도 본사랑미술관에서 개최하였다. 참석자는 최덕환, 김진수, 이기영, 고상욱, 김진태, 최용선, 조한범 등 7명의 임원진과 가족 등이었고 가이드의 설명과 함께 한 강화도 역사기행, 조나단 유 감독과 함께한 명화 감상 (그레이트 왈츠, 1938년작), 석모도 관광 등을 하였고 9일 오후에 임원회의를 하였다.

2016년 3월 18일 금요일 18시부터 20시20분까지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지하2층 중강의장에서 제6회 한국부위마취연구회를 개최하였다. 1부는 Ultrasound-Guided Neuraxial Block을 주제로 충남의대 이원형 선생님이 좌장을 맡아 예수병원 김형태 선생님이 강의하였다. 2부는 Labor Analgesia를 주제로 조선의대 소금영 선생님이 좌장을 맡고 성균관의대 최덕환 선생님이 Combined Spinal-Epidural Labor Analgesia에 대해 Mini-Lecture를 하였고, Topic Discussion으로 Epidural catheter 거치중인 산모에서 제왕절개 수술 진행시 마취방법에 대해 단국의대 제일병원 윤희조 선생님이 Extending Epidural Analgeis, 제주의대 이애령 선생님이 Switching to Other Anesthetic Options의 제목으로 강의하였다. 총 58명의 정회원이 참석하였다.

2016년 4월 13일 수요일부터 4월 17일 일요일까지 한국부위마취연구회 임원 및 정회원 14명은 제3회 JSRA (일본부위마취학회, 4/15~16)에 참석하였다.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서 2일간 진행된 3rd JSRA에 한국부위마취연구회에서는 5개의 포스터발표와 2개의 oral presentation을 하였고, 일본부위마취학회 임원진들과 한일 공동 학회 개최 및 한국부위마취연구회 연자 초청등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등 교류를 하였다.

2016년 8월 27일 토요일 10시부터 17시까지 제 7회 한국부위마취연구회 및 제 3회 초음파 workshop이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의과대학본관 2층 유광사홀에서 개최되었다. 사전등록은 전문의 95명, 전공의 62명, 현장등록은 전문의 8명, 전공의 5명으로 13명으로 총 170명이 등록하였다. 제 7회 한국부위마취연구회의 첫 순서는 Guest lecture로 성균관의대 최덕환 교수님이 좌장을 맡았고, 차의과대학 신양식 교수님이 “Is the general anesthesia superior to the spinal anesthesia in ambulatory surgery?” 에 대한 강의와 프랑스 Nantes University Hospital의 Dr. Charles Pham Dang 교수님의 “Emerging new techniques of analgesia for total knee arthroplasty: Progress or regress?”에 대한 강의 및 라오스에서의 초음파를 이용한 말초신경차단으로 의료봉사 경험에 대한 소개가 있었다. 두 번째 순서는 Dexmedetomidine에 대한 Luncheon sesmiar로 경북의대 박성식 교수님이 좌장을 맡았고, 고려의대 신현주 교수님이 “Adjuvant to local anesthetic during regional anesthesia” 에 대한 강의와, 조선의대 정기태 교수님이 “Other clinical applications during perioperative period” 에 대한 강의가 있었다. 세 번째 순서는 Live demonstration 으로 성균관의대 고상욱 교수님이 좌장을 맡고 Dr. Charles Pham Dang 교수님이 “Intersternocleidomastoid (ISCM) approach for interscalene block” 을 시연하였다. 마지막 순서는 Research Topics in Regional Anesthesia로 고려의대 이혜원 교수님이 좌장을 맡았고, 대구가톨릭의대 김종해 교수님이 “Comparison between ultrasound-guided interscalene and supraclavicular BPB in patients undergoing arthroscopic shoulder surgery”, 아주의대 조한범 교수님이 “Ultrasound-guided serratus-intercostal plane block and intermediate cervical plexus block for transaxillary robotic thyroidectomy”, 연세의대 김영화 교수님이 “Impact of caudal block 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children undergoing hypospadias repair” 를 제목으로 최근 게재된 연구를 소개하였다. 제 3회 초음파 workshop은 Basic course와 Advanced course로 나누어 진행하였는데, Basic course는 무료로 전공의, 전문의 모두 참여할 수 있었고, Advanced course는 사전 신청한 전문의 26명이 참여하였다. 이화의대 김윤진 교수님과 아주의대 김진수 교수님이 전반적인 workshop 진행을 맡아주었다. Basic course는 interscalene BPB, Axillary BPB에 대해 대구가톨릭의대 김종해 교수님, TAP block에 대해 아주의대 조한범 교수님, Femoral nerve block, Sciatic nerve block에 대해 충북의대 신영덕 교수님이 수고하였고, Practicing on ultrasound phantoms 은 후지필름 소노사이트 임상지원팀에서 수고하였다. Advanced course는 Dr. Charles Pham Dang 교수님이 Peripheral nerve blocks for knee arthroplasty, 예수병원 김형태 선생님이 Peripheral nerve blocks for hip arthroplasty, 대전성모병원 방승욱 교수님이 Peripheral nerve blocks for abdominal surgeries, 고려의대 신현주 교수님과 성균관의대 고상욱 교수님이 Catheter over the needle technique에 대해 워크샵을 진행하였다. (총 26명, 4조)

2016년 9월 3일 토요일부터 11일 일요일까지 한국부위마취연구회 임원 및 정회원 7명은 제35 ESRA (유럽부위마취학회, 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 9/7~9/10)에 참석하여 5명이 초록을 발표하였다. ESRA annual networking dinner에 참석하여 여러 인사와 교류하고 KSRA에 강의 부탁에 호의적인 답을 얻는 등 대외적 활동도 함께 하였다.

2016년 11월 대한마취통증의학회에서 이사회의 인준을 거쳐 한국부위마취연구회는 대한부위마취학회로 대한마취통증의학회 산하 분과학회로 승인되었다. (이후 대한부위마취학회의 연혁을 이어서 기록한다.)